전체보기

OSI 7계층이란? 국제표준기구가 지정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을 나누어서 설명한 것으로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서 문제가 없도록 만든 표준 물리,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전송, 세션, 표현, 응용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물리 계층 - 전기적, 기계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는 비트(Bit) -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함 2. 데이터링크 계층 - MAC주소를 이용해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된 정보를 전송하는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는 프레임(Frame) -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 3. 네트워크 계층 - 논리적 주소를 바탕으로 최적의 경로를 찾고 패킷을 전송하는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는 ..
프로토콜이란? 두 사람 간의 합의된 약속이라는 의미를 내포한 단어로 네트워크 안에서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필요한 규약 프로토콜 종류 주요 프로토콜들에 대해서는 이후에 포스팅할 예정 이름 설명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과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로 이루어짐 UDP User Datagram Protocol TCP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보내는데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TCP와는 달리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클라이..
네트워크란? 두 개 이상의 전송매체들의 연결로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집합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의 큐모에 따라 PAN, LAN, MAN, WAN 등으로 나뉘어진다. 1. PAN (Personal Area Network) - 10m 이내의 단거리 네트워크로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2.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 집, 학교, 사무실 등의 단위의 지역 내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 LAN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여러가지 토폴로지들이 존재한다. a) 성(Star) 형 : 중앙에 위치한 주 노드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하는 구조 (중앙집중식) - 장점 : 장애 발견이 쉬우며 확장과 관리가 편리함 - 단점 : 주 노드를 통해 통신하므로 주 노드에서..
주어진 압축파일에는 run이라는 이름의 실행파일과 file이라는 이름의 파일이 보인다 이외에도 dll파일이 있지만, 우선 readme를 보자 파일을 복호화하하는 의미로 보인다 주어진 file을 살펴보면 실행파일이 아니라고 나타난다 문제에 주어진 대로 파일을 복호화하면 실행파일로 읽혀서 답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run파일을 실행해보면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key를 요구한다 올리로 바로 확인하면 실행파일에서 보았던 key를 입력하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얼마안가서 작은 루프문과 fopen을 볼 수 있다 fopen에서는 'file'을 바이너리 읽기 형식으로 여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fopen을 지나서 루프문을 볼 수 있는데, 확인해보면 'file'의 내용을 한글자씩 (getc) 받아오는 부분임을 알 수..
압축파일을 풀면 사진 하나가 나오는데 내용은 확인 할 수 없다 일단 HxD 오픈 파일 시그니처를 구글에 검색해보면 이 파일은 mp3파일임을 알 수 있다 재생을 하면 음성이 들리는데 한국어인지 영어인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 뭔가 역재생시킨듯한 느낌도 받았다 일단 생각난 대로 이 파일을 역재생 시켜주는 방법을 이용했다 플래그는 한국어로 적자
압축파일 안에는 역시 사진 파일 하나가 들어있었다 문제 파일의 헤더 시그니처 부분을 좀 자세히 보면 일반적인 PNG 헤더 시그니처와 약간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값을 적절하게 바꾸고 저장 사진이 나오기는 하는데, 비정상적으로 나타난다. 아래부분을 마저 확인하면 플래그를 확인 할 수 있을 것 같다. HxD로는 부족해서 010 editor를 이용했다 나는 해귀다 문제와 비슷하게 chunk부분을 바꾼 듯 한 흔적이 있다 대문자로 바꿔주자
문제파일에는 위와 같은 사진 하나가 있다 요즘 광고에서도 자주 보이시는 분.. 문제 제목에서 나는 7ㅏ수다를 모티브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ㅋㅋ 각설하고 풀이! 겉으로 특별한 것이 없어서 바로 HxD 까보기 하지만 딱히 눈에 띄는게 안보여서 다른 툴을 이용해 보았다 이번에는 포렌식 툴로 유명한 010 editor로 까봤다 확실히 해당 파일에 대한 정보가 보다 자세히 나타난다 파일 구조의 끝부분에 Value가 DNEI로 되어있는 부분을 찾았다 그 위치로 이동하니 그 밑으로 쭉 어떤 PNG파일의 hex값이 뒤집어진 채로 있었다. (대충 뒤집어놓으셨다라는 뜻) 파일의 hex값을 뒤집는 방법에는 툴을 이용하거나 파이썬 코드를 짜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필자는 파이썬을 이용했다 파일을 뒤집으니 뒤집힌 플래그가 ..
압축파일 안에는 플래그 파일과 2개의 힌트 파일이 있다 플래그 파일은 암호화되어있어서 직접 확인 할 수는 없다 힌트파일은 접근이 되어서 확인 해봤는데 2가지 모두 확인하고 고려해본 결과 암호는 걸려있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ZIP파일의 구조를 살펴본 결과 크게 3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Local File Header, Central Directory, End of central directory record) 이 중 Flag 영역에 파일의 암호화 여부를 체크해주는 부분이 있음 을 알게 되었다 문제 파일의 flag.txt의 Central Directory 부분에서 flag 필드를 확인 해 보면 09 08로 되어있다 이를 리틀 엔디언 형식으로 보면 08 09가 되는데 0809를 비트로 계산하면 0..
Omoknooni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