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Prometheus를 구축할 수 있는 Prometheus Operator에 대해서 개략적으로만 알아보았다.Prometheus Operator의 CRD들을 통해 간편하게 Prometheus 스택을 설치하고, 서비스 중단없이 스크래핑 대상을 추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봤는데, 이번에는 직접 Prometheus에 스크래핑 Job을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알아본다. Exporter하드웨어나 프로세스로부터의 Metric을 수집해서 Prometheus가 스크래핑해갈 수 있도록 서빙하는 객체Application이나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노출하지 않는 내부의 지표들을 Prometheus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해준다.즉, 현지어(각 Application 별 Metric)를 영어(..
앞서 Prometheus와 Exporter 아키텍처를 구축해보면서 node-exporter를 통해 메트릭을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prometheus 설정파일에 exporter의 정보를 추가하면서, Prometheus가 Scraping할 대상을 등록했었다. [Observability] Prometheus & Grafana 연동이번에는 EC2 인스턴스의 Metric을 Prometheus로 수집하고, Grafana까지 연동까지 진행해보도록한다. Prometheus와 Grafana가 연동된 아키텍쳐 구조를 먼저 보도록한다. 각 노드들의 node-exporter로 부터 Promethblog.omoknooni.me 그렇다면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어떨까?쿠버네티스 환경에서도 마찬가지로 Prometheus를 직..
서비스나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면 Lambda나 SQS 등등 클라우드 서비스를 여러개 사용해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게 된다.하지만, 구성이 커지면 이러한 워크플로우의 구성요소들 간의 로직이 복잡해지게 된다.AWS 서비스들을 통해 워크플로우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시각화시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Step functio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Step FunctionAWS 서비스들을 한데 묶어 일련의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Workflow Studio를 통해 작업들을 직접 배치하고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Step function은 '상태 머신[State Machine]'이라는 개념으로 워크플로우를 구성한다. [상태 머신 == 워크플로우]그리고 상태 머신의 각 단계는 ASL..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다보면 이벤트 발생에 맞춘 로직 수행이나 주기적인 자동화를 수행해야할 경우가 존재한다.예를 들어, 워크로드 상에 존재하는 작업들의 이벤트 기반 상호작용이나 매일 새벽에 하루동안의 로그들을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작업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Eventbridge의 Rule과 Scheduler를 이용할 수 있다.이번에는 Eventbridge의 구성요소와 이들을 활용한 간단한 자동화를 구성해보도록 한다. Eventbridge이벤트를 Application 요소들과 연결할 수 있는 서버리스 '이벤트 버스' 서비스, 이전에는 Cloudwatch Events로 불렸고, 현재는 Eventbridge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한다.S3, EC2와 같은 AWS 서비스들에서 발생하는..
여러 AWS 서비스에서는 사용자를 대신해서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IAM Role을 부여한다. 그 과정에서 AssumeRole과 PassRole을 자주 볼 수 있는데, 이 둘은 간혹 보면 햇갈리는 점이 있다.이번에는 이 둘이 각각 어떤 기능이고,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 지 알아보도록 한다. AssumeRole한 IAM Role이 다른 Role의 권한을 일시적으로 가져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AssumeRole은 IAM이 아닌 STS(Security Token Service)라는 서비스의 Action으로 분류된다. Assume Role을 통해 User/Role은 자신에게 부여된 권한을 넘어 다양한 추가 권한을 임시로 얻어서 누릴 수 있게 된다.더불어, AssumeRole은 동일한 계정 내의 Role ..
S3 버킷을 정적 호스팅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버킷을 퍼블릭으로 오픈 후, 퍼블릭하게 버킷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버킷 정책을 설정해주어야한다.그리고 이러한 정적 호스팅 페이지를 오리진으로 하는 Cloudfront 배포를 생성해 사용하고는 한다. 이렇게 생성된 Cloudfront 배포 URL을 타고 정적 호스팅 버킷으로 접근하는 로직을 타는 것이다.하지만, 이러한 설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적 호스팅 버킷 URL을 통해서 직접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킷 컨텐츠에 대한 직접 접근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Cloudfront의 OAI와 OAC가 존재한다. OAI(Origin Access Identity)Cloudfront를 통해서만 S3 오리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확히는 Cloudfront가 S3 ..
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구조를 구성할 때, VPC와 같은 가상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다. 서비스 운영 범위가 방대해지거나 다른 리전 등의 네트워크 망과 통신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AWS VPC의 VPC Peering과 Transit Gateway라는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다.이번에는 VPC Peering과 Transit Gateway를 알아보고 간단한 활용 아키텍쳐를 구축해보도록 한다. VPC PeeringVPC의 프라이빗 IP주소를 사용해, 두 VPC 간에 트래픽을 라우팅할 수 있도록 일대일 연결한 네트워킹 구조 이러한 VPC Peering은 같은 리전, AZ의 VPC 뿐만 아니라, 다른 AZ, 리전, 계정의 VPC와 연결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연결하려는 두 VPC의 ..
AWS RD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를 쉽게 설정, 운영하게 하는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RDS는 MySQL, PostgreSQL, Oracle 등의 다양한 DB엔진을 지원하고, 자동 백업, Auto-Scaling, Cloudwatchf를 통한 모니터링 등을 지원해 DB 관리에 드는 노력과 부담을 줄여준다. 이러한 RDS의 기능 중 Multi-AZ와 Read Replica는 DB의 가용성, 성능, 확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이다. 이번에는 이러한 Multi-AZ와 Read Replica를 알아보고 직접 구성해보도록 한다. Multi-AZ2개 이상의 AZ(가용영역, Availability Zone)에 걸쳐 DB를 구축하는 아키텍쳐, DB의 가용성을 높인 구조로 볼 수 있다.M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