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

· Cloud/IaC
이번 글에서는 직접 간단한 인프라 아키텍쳐를 구성하고 코드를 작성해 Apply까지 진행해본다. 인스턴스 2개를 생성해 하나의 ALB로 묶은 아키텍쳐를 생성하보고자 한다. ALB 1개와 2쌍의 서브넷, 2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아주 전형적인 ALB 아키텍쳐이다. 시작하기에 앞서, Terraform 실행을 위한 Credential을 생성해야한다. Terraform을 통해 다양한 리소스들을 관리하므로 AdministratorAccess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생성한다. 사용자 생성 후 액세스 키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한 Credential은 terraform 코드 내에 직접 넣을 수 있고, CLI config/credential 파일에 넣고 불러올 수도 있으며, 시스템 환경변수 식으로 설정해 불러올 수 있기도..
· Cloud/IaC
이번에는 Terraform에서 사용되는 기본 키워드를 몇 가지 알아보고, 직접 code를 작성해 인프라를 올려본다. 기본 키워드 Provider Terraform 템플릿으로 구성될 인프라의 타입으로, AWS / GCP / Azure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부터 SaaS 타입의 서비스까지 다양한 외부 서비스들을 Terraform과 연결해주는 기능 프로바이더는 configuration 단계에서 반드시 설정해주어야한다. 아래 링크에서 Terraform이 지원하는 Provider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Terraform Registry registry.terraform.io Terraform은 이러한 Provider들의 API를 호출하는 식으로 실행된다. 아래 코드는 Provider를 AWS로 지정하는..
· Cloud/IaC
Public cloud가 발달함에 따라 많은 개인과 기업들이 운영 중인 서비스들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게 되었다.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점차 서비스들이 확장되며, 사용중인 리소스들의 수가 증가하여 프로비저닝과 운영/관리가 복잡하고 어렵게되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를 코드 형식으로 관리하고자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이번에 소개할 Terraform이 등장하게 되었다. Terraform terraform은 Hashicorp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인프라관리 도구로, 인프라의 구조를 코드로 작성해서 간단하게 구축하고 인프라의 형상을 관리할 수 있다. Terraform은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라는 자체적인 설정 Language를 이용해 인프라 리소스들을 선언한다. 자체..
Omoknooni
'terraform' 태그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