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를 올리고 구성까지 마쳤으니 도메인을 연결해보자
Route53
AWS에서 제공하는 DNS 서비스 (Route53의 의미는 DNS 포트 53에서 유래됐다고 함)
Route53를 통해 네임서버 등록, 레코드 관리, 도메인을 구매까지 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도 가능하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AWS 서비스(EC2, ELB, S3 등)과의 연결이 매우 편리하다는 점이다.
다만, kr 도메인은 구입할 수 없다. (kr도메인은 가비아 등 다른 도메인 등록기관에서 구매)
도메인을 연결하기 전에 도메인을 구입해야한다.
Route53/가비아 등에서 도메인을 구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학습/테스트 용도로 무료도메인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글에서는 Freenom을 통해 무료 도메인을 가져와 진행한다.
(유료 도메인 구매 후 Route53에 적용하는 방법은 추후 작성 예정)
Freenom은 무료 도메인 서비스로, 인기있는 도메인(.com, .net, .io 등) 대신 마이너한 타입(.tk, .ml 등)의 도메인을 제공한다.
최대 1년 까지 사용가능하며, 연장도 가능하다고 하다. (freenom에서 가져온 도메인은 테스트용으로만 잠깐 사용하는 것을 추천)
Freenom에 접속해 입력창에 사용하고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Check Availability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등록 여부가 나타난다.
Available한 경우 Checkout으로 넘어간다.
선택한 도메인을 확인하고, 기간을 설정한다
무료 plan은 최대 1년(12개월)까지 설정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도메인의 등록이 이뤄지는 곳, 무료임을 확인하고 계정 등록을 진행한다.
이메일을 입력하고 인증이메일을 확인
인증메일 링크를 타고 넘어오면 추가 개인정보 입력폼이 나온다
등록을 마치면 메인페이지로 리다이렉션, Service > My domain으로 가면 등록한 도메인이 보인다.
여기까지가 도메인 구매등록이고, 이제 Route53으로 이 도메인을 연결하자
Route53 > 호스팅 영역으로 이동, 호스팅 영역 생성
도메인 이름에 방금 freenom에서 등록한 도메인 입력, 유형은 퍼블릭으로 설정
퍼블릭 호스팅 영역 :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 우리가 일반적으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방법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 VPC에서 트래픽을 라우팅, VPC 환경 내의 AWS 서비스들에 접속하는 방법, 이 방법을 통해 등록하면 해당 도메인은 VPC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다.
호스팅영역을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NS, SOA 레코드가 지정된다.
이제 도메인 구매처에서 네임서버를 이 NS레코드 값으로 변경해준다.
Manage Domain으로 넘어간 후, Management Tools > NameServers
NS레코드 값의 맨 뒤의 . 까지 적어주어야 한다.
네임서버 변경이 완료되면 구매한 도메인과 Route53과의 연결이 완료된 것이다.
이제 Route53과 EC2를 연결하자
웹서비스가 올라간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자
Route53에서 호스팅 영역 > 레코드 생성
레코드의 정보를 입력
레코드 이름 : 도메인을 라우팅할 이름을 지정, 서브도메인을 지정하는 란, 비워두는 경우 루트 도메인에 대한 레코드가 생성
레코드 유형 : EC2에 단순 연결할 것이므로 A레코드
값 : 여기에 연결할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를 입력
이제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경우, 인스턴스로 연결되는 걸 볼 수 있다.
Route53 요금
도메인을 무료로 가져왔다고 하더라도, 계정이 현재 프리티어라고 하더라도, Route53 호스팅영역에 연결한 순간 요금이 발생한다.
- HostedZone 1개 당 $0.5 (호스팅영역 25개 까지)
- 백만 DNS Query 마다 $0.4 (10억개 까지)
AWS에 대한 찍먹은 여기까지 적을 듯하다
정리에 게을러서 찍먹에 대한 글 작성이 늦어졌다. 이미 작성할 주제가 상당히 많이 쌓였다...
이제라도 좀 착실히 활동했던 내용을 정리해야겠다.